-
데스크탑에서 NAS로 파일 이동IT/컴퓨터/Synology NAS Life 2014. 11. 26. 10:30728x90
그저께 NAS 초기화 및 설정 과정도 마치고, RAID1 검사 프로세스도 점심쯤 끝나서(15시간 정도 걸림;)
어제는 계획대로 퇴근하고 데이터를 옮기기 시작했습니다.
그 과정이나 슬쩍.
이건 NAS로의 데이터 전송과는 약간 관계가 없습니다만, NAS의 외부 접근 방법을 약간 바꿔봤습니다.
먼저 초기화 후 설정할때는 NAS가 공유기 완전히 바깥에 있는것처럼 공인IP주소를 직접 할당받도록 설정했는데(공유기 설정화면에선 '슈퍼DMZ' 라고)
이번엔 공유기 네트워크 안에서 가상 IP(192.168~)를 할당받으며 공유기의 방화벽 설정만 피할 수 있도록(DMZ 설정) 설정했습니다.
외부에서 접속해야 하는 IP는 둘 다 같긴 한데,
슈퍼DMZ 설정시에는 공유기가 이상한지 같은 공유기 네트워크 안에 있는 PC들에서 접근이 안되더군요;
사실 이 NAS의 설정기능 중에서 네트워크상의 공유기를 검색해 자동으로 포트포워딩 등의 설정을 할 수 있는 기능은 있는데,
제가 관리자 페이지를 비밀번호로 잠궈둬서 그런지 제대로 적용이 안되더군요.
위 화면에서 고급을 눌러 수동으로 해보려 해도 안되고..
이 페이지의 최하단으로 가면 Synology 제품에서 사용하는 포트들이 나열되어 있습니다만.. 좀 많아서;
물론 이 포트 다 등록해야되는건 아니고, 제가 쓰는 응용프로그램 것만 등록하면 되긴 합니다.
그건 차차 할 생각. 일단 데스크탑과 슬레이트의 데이터좀 다 옮기고;
NAS상에서는 윈도우로의 파일공유 서비스가 활성화되어 있던 터라,
네트워크에 뜨는 제 NAS 아이콘을 클릭하고 팝업된 창에 미리 등록한 계정정보를 입력해 로그인하니 위와같이 폴더 리스트가 뜹니다.
뭐, 그렇게 어려운 기기는 아니라; 이제 평범하게 드라이브에 파일 넣듯 이동시키면 됩니다.
...만, NAS와 데스크탑 메인보드에 각각 부착된 LAN 포트는 기가비트를 지원하고, 이 둘에 연결된 케이블 또한 기가비트를 지원합니다만
공유기가 100Mbps에 머뭅니다. 덕분에 속도가 딱 100Mbps 한계치에 근접하고 있습니다. 이정도 옮기는데 시간이 꽤 걸리네요..
이 글이 올라갈 시간이면 출근해 일하고 있겠습니다만,
보아하니 원격으로 간간히 접속해 파일 이동작업은 재개할 수 있도록 하고 하루 보내야겠습니다. 아으 답답해! ㅠㅠ
공유기도 올해 가기 전에는 다른걸 구입해야되는데 말이죠.
2014.12.28 P.M 6:55분 추가.
집안의 네트워크를 기가비트로 바꿨습니다. [관련 글 보러가기] 45 ~ 65MB/s까지 속도 잘 나오네요. ///
참, 다른 얘기지만, NAS로 파일을 옮긴다고 해서 기존의 파일 내 날짜 기록이 삭제 혹은 변경되는건 아닙니다.
일반적인 외장하드를 쓸때와 같다고 보시면 될듯. 물론 위와 같이 카메라 내 촬영정보(EXIF) 같은것도 변형되지 않습니다.
덧붙혀 어제(11/25) 옮겼구요. 더불어 참고하시길.
1MB/s 이상 올라갈일이 없던 리소스 모니터의 네트워크 사용률도 현재 연결된 네트워크 대역폭의 최대치에 가까운 값을 표시하고 있습니다.
사실 파일 옮기기 시작하니 네트워크 대역폭들을 한계 가까이까지 써대서(대충 90% 이상?) 이 웹기반 NAS 관리자페이지도 새로고침이 좀 느리더군요.
빨리 옮기라고 이거 캡쳐하고 로그아웃해두긴 했지만.
좀 옮기고 익숙해지면, 아이패드로 스트리밍 동영상 시청 같은것도 시도해볼 생각입니다. '익숙해지면' 이니 시간은 좀 걸릴것 같지만요;
그럼 이야깃거리 생기면 다시 글 적겠습니다.
'IT/컴퓨터 > Synology NAS Life' 카테고리의 다른 글
Synology NAS에서 일정주기마다 자동으로 시간 동기화하기 (0) 2015.02.02 UPS용 멀티탭 자작 (0) 2015.01.10 정보 손실 없이 아이튠즈 음악 라이브러리를 NAS로 옮기기 (9) 2014.11.28 데스크탑에서 NAS로 파일 이동 (0) 2014.11.26 NAS HDD구입 및 Synology DS213j 설치, 초기화작업 완료 (2) 2014.11.25